본문 바로가기
  • 장미와 동하의 살아가는 세상

시암재4

171007, 남원 백두대간 생태교육장, 정령치 성삼재 시암재 드라이브 - 나홀로 2017년 10월 07일 토요일 흐림남원 백두대간 생태교육장, 정령치 성삼재 시암재 드라이브 - 나홀로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릅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큰 산줄기로 전통적 산세인식을 바탕으로 정함, 인문지리적인 측면은 백두대간ㆍ정간ㆍ정맥 모두를 산계(山系)의 연속으로 인식하여 우리 국토에 대해 지리적으로 일체감을 갖게 하며, 유역을 가르는 분수계(分水界)로서 국토 공간구조의 골격이자 생활영역과 문화양식의 기반이 되는 민족의 인문적 바탕을 이룬다. 자연생태적 측면으로는 생물종이 다양하고 풍부한 한반도의 핵심 생태축으로 천연기념물이나 여러 .. 2025. 3. 4.
130707, 남원 광한루, 정령치 구례 성삼재 시암재 나들이 - 호랭이 친구들과 함께 2013년 07월 07일 일요일 비 남원 광한루, 광한루 정령치 구례 성삼재 시암재 나들이 - 호랭이 친구들과 함께 어제 함양 칠선계곡의 칠선산장에서 고우회 모임을 하고 아침식사를 한 뒤 광주로 되돌아 온다. 청솔부부, 처사부부가 동악산행을 계획했으나 비가 와서 산행을 못하고 무엇을 할까 고민하고 있어 12시경 동하부부도 함께 합류하여 드라이브코스를 잡아본다. 코스는 남원 광한루를 산책하고 정령치를 거쳐 성삼재와 시암재를 지나 광주로 되돌아 오는 코스이다. 남원에 도착하여 남원시 식정동에 있는 청룡집에 들러 점심으로 메기탕을 맛있게 먹게 되고 간간이 비가 뿌리는 가운데 한가롭게 힐링을 하며 광한루 산책을 한 바퀴 즐긴다. 이제 정령치로 고고~, 정령치에서 내려다 본 남원방향의 운해와 초록빛의 조화가 정말.. 2025. 2. 16.
121103, 남원 만인의총, 정령치,구례 시암재 석양-아내와 함께 2012년 11월 03일 토요일 맑음남원 만인의총, 정령치, 구례 시암재 석양 - 아내와 함께 토요일 오전 근무 후 모처럼 드라이브의 시간을 즐겨 본다. 남원의 만인의총을 관람하고, 정령치로 올라 지리산 천왕봉과 주능선을 바라보고, 성삼재를 지나 시암재에 도착하니 멋지고 아름다운 석양이 시작되고 있다. 아름다운 시암재에서의 해넘이를 한참 동안 즐기고 광주집으로 되돌아온다. 남원 만인의총[ Tomb of Ten Thousand Patriotic Martyrs, Namwon , 南原 萬人義塚 ]정유재란 때 남원성(南原城)을 지키다 전사한 지사들의 무덤. 1981년 4월 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의 패인이 전라도 지방을 점령하지 못한 탓이라고 여긴 왜군은 정유재란을 일으켜 전라도 지방을 점령한 뒤 북.. 2025. 2. 14.
060806, 구례 지리산 백무동 성삼재 섬진강 드라이브 - 아내와 함께 2006년 08년 06일 일요일 맑음구례 지리산 백무동 성삼재 섬진강 드라이브 경남 함양 마천면 백무동 계곡에 들러 잠시 발을 담궈보고, 성삼재로 옮겨 주변 풍경들을 감상한다. 섬진강변을 드라이브 중 곡성의 섬진강 기차마을에 들러 선명한 분홍빛 현수교를 천천히 건너본다. 성삼재[ 性三峙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에 있는 지리산의 고개이다. 지리산 능선 서쪽 끝에 있는 고개로, 높이 1,102m이다. 마한 때 성씨가 다른 세 명의 장군이 지켰던 고개라 하여 성삼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고갯마루에 주차장과 휴게소, 전망대 등이 조성되어 있다. 성삼재에서 천은사까지의 구간에는 1988년 개통된 지리산 횡단도로(지방도 861번)가 개설되어 있는데 거리는 약 10㎞이다. 성삼재를 기점으로 하여 동쪽.. 2025. 1. 24.